본문 바로가기

IT Infra/Network

(4)
쿠키와 세션 쿠키와 세션 사용하는 이유 HTTP 프로토콜 환경은 “Connectionless, stateless” 한 특성을 가진다. Connectionless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했을 때 응답을 받으면 그 연결을 끊는 처리방식이다. stateless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가지지 않는 서버 처리방식이다. 클라이언트와 통신을 이전에 주고 받았다 해도 두번째 통신에서 이전 데이터를 유지하지않는다. HTTP 프로토콜의 특성이자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쿠키 또는 세션을 사용한다. 만약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매번 페이지를 이동할 때마다 로그인을 다시 하거나, 상품을 선택했는데 구매 페이지에서 선택한 상품의 정보가 없거나 하는 등의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쿠키 쿠키란? 클라이언트(브라우저) 로컬에 저장되는 ..
CNAME과 A record 차이 CNAME 하나의 도메인에 다른 이름을 부여하는 방식을 의미 도메인 이름의 또 다른 이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A record domain name에 하나의 IP Address가 있음을 의미 예시 NAME TYPE VALUE bar.example.com CNAME foo.example.com foo.example.com A 192.0.2.23
FTP 란 무엇일까? FTP 란? FTP는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파일을 전송하는 통신 규약이다. FTP 서버에 파일들을 업로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며, 이는 FTP 서버와 FTP 클라이언트 간에 통신에서 이루어진다. FTP는 Active 모드와 Passive 모드 2개의 모드가 존재하며, 각각의 모드에서는 2개 또는 2개 이상의 포트가 연결을 맺고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사용되는 포트는 연결을 제어하는 Command 포트가 있으며 데이터를 전송하는 Data 포트가 있다. FTP는 TCP 기반으로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기본으로 동작 모드로는 Active모드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Command포트는 20번 or 1024번 포트를 사용하고 Data 포트는 21번 포트를..
HTTP 상태코드 정리 상태코드 HTTP 통신을 하게 되면 응답 상태를 나타내는 코드로 100~500번 대의 번호들이 있다. 1xx ~ 5xx 번호 3자리 수 중 첫번째 숫자는 응답의 종류를 나타낸다. 1xx(정보) 요청을 받았으며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 2xx(성공)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았으며 인식했고 수용 3xx(리다이렉션) 요청 완료를 위해 추가 작업 조치가 필요 4xx(클라이언트 오류) 요청의 문법이 잘못되었거나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음 5xx(서버 오류) 서버가 명백히 유효한 요청에 대한 충족을 실패 자주 보이는 상태코드 200(OK) 요청이 성공적으로 되었습니다. 정보는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 반환됩니다. 201(created) 요청이 성공적이었으며 그 결과로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었습니다. 이 응답은 일반적으로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