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쿠버네티스 구성요소 kubernetes는 다수의 서버를 관리하는 툴이다. 하나의 서버가 아니라, 여러 대의 서버를 관리하기 위한 툴이므로 여러가지 구성요소가 존재한다. 간혹 오브젝트랑 헷갈릴 수 있는데 오브젝트들이 모여서 하나의 서버가 되는 것이고 그 서버를 관리하는 것이 쿠버네티스 구성요소이다. kubernetes는 크게 마스터(master),노드(node) 로 구성된다. 마스터(master) 마스터에는 etcd, API 서버, 컨트롤러 매니저, 스케줄러 등이 존재한다. etcd 구성 요소들의 상태 값이 모두 저장되는 곳 etcd의 정보만 백업이 되어있다면 긴급한 장애 상황에서도 클러스터 복구 가능 분산 저장이 가능한 key-value 저장소이므로 복제해서 여러 곳에 저장을 해두면 하나의 etcd가 장애가 나더라고 시스템.. Network 쿠키와 세션 쿠키와 세션 사용하는 이유 HTTP 프로토콜 환경은 “Connectionless, stateless” 한 특성을 가진다. Connectionless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했을 때 응답을 받으면 그 연결을 끊는 처리방식이다. stateless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가지지 않는 서버 처리방식이다. 클라이언트와 통신을 이전에 주고 받았다 해도 두번째 통신에서 이전 데이터를 유지하지않는다. HTTP 프로토콜의 특성이자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쿠키 또는 세션을 사용한다. 만약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매번 페이지를 이동할 때마다 로그인을 다시 하거나, 상품을 선택했는데 구매 페이지에서 선택한 상품의 정보가 없거나 하는 등의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쿠키 쿠키란? 클라이언트(브라우저) 로컬에 저장되는 .. Linux 데몬에 대해서 데몬(Daemon)이란? 리눅스 시스템이 처음 가동될 때 실행되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일종으로 메모리에 상주하면서 특정 요청이 오면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대기중인 프로세스이다. 데몬(Daemon)의 실행방식 standalone 독자적으로 구동되는 방식으로 혼자서 요청을 받아 처리하며 메모리 상에 항상 구동되고 있으므로 응답속도가 빠르나 메모리에 부하를 줄 수 있다. 요청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프로세스에서 많이 쓰인다고 한다. 데몬 실행 스크립트 위치 /etc/inetd.d/ xinetd 슈퍼 데몬이라고도 하며 다른 데몬들의 상위에 존재한다. 요청이 오면 xinetd에 종속되어 있는 하위 데몬을 실행시키는 방식이지만 xinetd 자체는 standalone 방식으로 작동한다. 응답처리 속도가 standal.. Linux 리눅스 파일시스템 구조 리눅스는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디렉토리를 사용하는데 디렉토리는 계층구조를 가지고 있다. 리눅스는 전체 파일을 용도에 따라 계층 디렉토리로 구분하여 관리하며 이것을 파일 시스템이라고 한다. 리눅스 파일의 종류 일반 파일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 텍스트 파일, 실행파일, 이미지 파일 등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파일이 일반파일이다. 실행파일 or 이미지 파일의 경우 데이터가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되어 바이너리 파일이라고도 불린다. 디렉토리 리눅스에서는 디렉토리도 파일로 취급 디렉토리 파일에는 해당 디렉토리에 저장된 파일이나 하위 디렉토리에 대한 정보가 저장 심벌릭 링크 원본 파일을 대신핟록 워본 파일을 다른 파일명으로 지정한 것 윈도우의 바로가기와 개념이 비슷하다. 장치파일 리눅스에서는 하.. Base knowledge V모델에 대해서 v 모델에 대해서 설명하기 앞서 폭포수 모델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겠다. (v 모델이 폭포수 모델의 확장 형태이다.) 폭포수 모델 순차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위한 프로세스)이다. 각 단계는 병행으로 수행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장점 단순한 이해하기 쉬운 직관적인 모델 단계별로 정형화 된 접근 방법 체계적으로 문서화 가능 프로젝트 진행 상황 명확히 확인 가능 단점 변경 수용이 어려움 시스템의 정상동작 확인을 프로세스 후반에 확인 가능 지나친 문서화 일정 지연 가능성이 큼 V모델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로 폭포수 모델의 확장된 형태 중 하나이다. 위에 첨부된 그림과 같이 알파벳 v자 모양으로 프로세스가 진행된다. 특징 각 단계마다 상세한 문서화를 통해 작업을 진행하는 방법을..